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피그마 요금제

by KIHE 2023. 1. 30.

Figma

1. 요금제 종류

 

무료 요금제, 프로페셔널, 조직, 기업 요금제 이렇게 4가지로 나눌수있다.

피그마와 피그잼은 다른 요금제 이므로 피그마/프로토타입 요금제만 정리했다. 23년1월30일 기준 달러 환율은 1,228.04원이므로 1달러 = 1,300원으로 계산하였다.

연 결제 기준이므로 월 결제 시 가격은 다르다.

 

2. 무료 요금제

활용 가능 기능으로는 무제한 에디터 공유 / 플러그인, 템플릿 활용 가능하다. 공식 홈페이지에는 무제한 팀 생성이 불가능하다고 되어있지만 스타터 요금제를 선택한다면 팀 생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하나의 팀장 3개의 파일과 각 파일의 3개의 페이지만 생성이 가능하다. 이외의 최대 30일간의 버전만 기록이 가능며 라이브러리 활용이 불가능하다.

개인 포트폴리오용/ 스터디용으로는 무리가 없겠으나 라이브러리 사용 불가능으로 인해 한 파일 당 하나의 프로젝트만 활용이 가능하다. 디자인시 보통 컴포넌트 / 디자인 스타일 / 각 세분화 된 화면 / 프로토타입 / 디버깅 이런식으로 활용을 많이 했는데 무료요금제 사용 시 컴포넌트 | 디자인스타일 / 화면 | 프로토타입 / 디버깅 식으로 페이지를 많이 합쳐야할것같다.

 

3. 피그마 프로페셔널

유료 요금제다 보니 버전 | 파일/페이지 제한이 사라지고 무제한으로 생성,기록이 가능하다. 팀 라이브러리도 활용이 가능해 하나의 팀 안에서 하나의 프로젝트의 다양한 파일을 제작할 수 있다. 아직 한번도 써본적없는 오디오 대화도 가능하다. 오디오 대화를 활용하게 된다면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멀리있는 팀원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별 구분과 페이지별 세분화등 정리가 중요한 분에게 추천한다.

금액은 에디터 권한을 부여 받은 계정 당 15,600원정도이다.

 

4. 피그마 조직/기업

마지막으로 피그마 조직/기업 요금제는 관리자 직급위주의 기능이 추가 된다. 플러그인을 대신 설치 해주거나 도메인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팀 초대를 조금 더 빨리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직과 기업의 조금 다른 점이라하면 보안이다. 조직에 비해 기업 요금제가 암호 설정이라던가 업무 지정 등 보안과 업무의 세분화를 할수있다.

조직은 에디터 권한을 부여 받은 계정 당 58,500원, 기업은 97,500원이다.

 

5. 결제 기준

피그마페이지에는 영어로 설명되어있다. 아래 사진을 통해 링크를 들어가면 한국어로 정리되어있는 페이지로 이동 할 것이다.

https://shouk.today/review/Figma

피그마의 편집자 인원 기준은 월단위이며 이론상 한 달 사용 이전에 뷰 모드로 다운그레이드 하면 뷰 모드로 전환한 계정은 추가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23년 1월 6일에 유료 플랜으로 변경했다면 23년 1월 4일까지는 추가 정산 계정이 아니다.

이때 뷰 모드로 다운그레이드 하면 23년 1월 5일에 추가 정산 계정으로 포함이 안된다.

23년 1월 5일에 계산된 내용은 최초 유료 계정으로 전환한 매달 6일에 이메일로 통보된다.

여기서 추가 정산 계정을 피하려면 최초 유료 계정으로 결제한 6일의 2일 전인 4일, 5일 모두 뷰 모드로 전환하면 안전하게 포함이 안 된다. 하지만 그동안의 업무가 중단되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는 피해가 있을 것이다.

댓글